본문 바로가기
고구마밭/문법

일본어교육통신 : 재미있는 문법 「のだ/んだ」

by 고구마* 2017. 9. 24.

일본어교육통신:재미있는 문법 정리표 목록

http://08054409086.tistory.com/1164



이번에는 일본어 학습과 함께 문제로 구성되어있고, 알기 쉬운 문법항목을 덧붙혔고, 일본어를 어미로 취급하지 앟는 사람의 시점에서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설명하려고 한다.



「のだ/んだ」(1)


이번에는「んです/んだ」「のです/のだ」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다음의 (1)의 대화를 보자.


(1)
 A:どうして遅れたんですか。
왜 늦은거죠?

 B:ごめんなさい。バスが来なかったんです。
죄송합니다. 버스가 늦어졌습니다.



 (1)에는「んです」가 2개 나온다.「んです」를 대신해서「のです」,「んだ」를 대신해서「のだ」를 사용할 수 있지만,「のです/のだ」가「んです/んだ」보다 격식적이고 딱딱한 느낌이 있다.

 「のだ/んだ」의 기본적인 의미는「상황 설명」이다.「사정」이라는 것은,「이유」나「원인」라는 의미로,「상황 설명」이라는 것은, 어떤 상황에 대해서「이유」나「원인」를 설명하고 있다.

 「상황 설명」은 말하는 사람이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상황 설명을 구하다(상황을 듣다)경우가 있다.

 (1)에서는 A가「んです」를 사용해서 B에게 설명을 구하는 것에 B는 늦어진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バスが来なかった(버스가 오지 않았다)」의 뒤에「んです」를 붙힌다.

 「이유」나「원인」를 설명할때 경우에 따라서 변명으로 들린다(=책임회피), 주장이 너무 강함, 강요하는 느낌(=일방적으로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다)들릴 수 있다.

 다시 한번(1)의 대화를 보자. A가 늦어진 이유를 물어보자 B는「ごめんなさい(죄송합니다)」라고 사과한 다음에 늦은 이유를 설명한다.(1)에서는「ごめんなさい(죄송합니다)」라고 사과했으므로, 주장이 너무 강하게 느껴지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이「んです」가 겹쳐지면, 변명으로 들리고 또, 강요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2)

 A::どうして遅れたんですか。
왜 늦은거죠?


 B:バスが来なかったんです。あのバスはいつも遅れるんです。だから、仕方がないんです。
버스가 늦게 왔어요. 그 버스 항상 늦는다니까요. 그러니까 어쩔 수 없었어요.



 「のだ/んだ」를 사용한 질문도 상황에 따라서 억양을 강하게 하거나 미묘한 차이의 변화가 있다. 다음(3)1은 인사를 대신해서 가볍게 물어보는 것이라서(3)2, 3이 되는 것에 따라서 설명을 구하는 정도가 강해진다.

(3)
 1.

 A:こんにちは。いいお天気ですね。何をしているんですか。
안녕하세요. 날씨가 좋네요. 뭐하고 계세요?

  B:いい天気だから、チューリップの球根を植えようと思って。
날씨가 좋아서 튤립 구근을 심을까해서요.

  A:そうですか。いいですね。
그렇군요. 그거 좋네요.



 2.

 A:Bさん、何をしているんですか。
B씨, 뭐하고 계세요?

  B:いい天気だから、チューリップの球根を植えようと思って。
날씨가 좋아서 튤립 구근을 심을까해서요.

  A:ああ、そうでしたか。何をしてらっしゃるのかと思っていましたが。
아, 그렇군요. 무슨 일 하시나 생각했습니다.



 3.

 A:Bさん、何をしているんですか。
B씨, 뭐하고 계세요?

  B:いい天気だから、チューリップの球根を植えようと思って。
날씨가 좋아서 튤립 구근을 심을까해서요.

  A:今球根など植えなくてもいいですよ。ちょっと早すぎますよ。
지금 구근을 심기에는 좀 이른거 같아요.


 (3)-2에는 (3)-1보다 정답을 구하는 기분이 강하고, (3)-3에서는「問いただし」(=강력하게 추궁하다)나「문책」(=주의하다, 비난하다)느낌이 강하다.

 「のだ/んだ」를「언제 사용」하는 것은 일본어를 공부하는 사람에게 어려운 문제지만, 동시에「언제 사용하지 않을까」도 어려운 문제다. 일본어 학습자가 만드는 작문을 볼때면,「のだ/んだ」의 탈락(사용하지 않음, 빠져있음)이 많음과 동시에 그 이상으로「のだ/んだ」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 연습해보자. 다음의「のだ/んだ」를 사용한 a와, 사용하지 않은 b 중에서 어느쪽이 자연스러운지 생각해보자.

【문제1】

1.<자기 소개에서>

ポン(폰):ポンです。タイのバンコクから 폰입니다. 태국의 방콕에서(a.来ました b.来たんです)。今、日本語学校で日本語を 지금, 일본어 학교에서 일본어를(a.勉強しています b.勉強しているんです)。



2.<일본어 코스가 끝나고 수료식 스피치에서>

ホセ(호세):最後に、私は先生方に感謝 마지막으로 저는 선생님들에게 감사(a.したいです b.したいのです)。先生方はとても親切で、선생님들은 아주 친절하고(a.やさしかったです b.やさしかったのです)。



3.<당신은 빌딩 8층에 있다. 창문에서 내려다보니, 우산을 쓰고 걸어가는 사람들이 보인다. 그것을 보면서>

あなた(당신): あ、雨が 아, 비가(a.降っている b.降っているんだ)。



4.<큐슈에서 사온 선물을 들고 선배에게>

私(나):これ九州のお土産です。
이거 큐슈에서 사온 선물입니다.

先輩(선배):そうですか。九州に 그런가요? 큐슈에(a.行きました b.行ったのです)ね。



5.<김씨가 외출하는 것을 보고, 리씨는>

リー(리):キムさん、こんな時間にどこへ 김씨, 이런 시간에 어디(a.行きます b.行くんです)か。もう遅いですよ。벌써 시간이 늦었어요.


 정답은 1-aa, 2-aa, 3-b, 4-b, 5-b이다.


 1는 자기 소개를 하고 있지만, 상대와 처음 만나서「상황 설명」은 없다. 소개의 경우에는「のだ/んだ」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2도「상황 설명」보다도 단순한 감사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으므로,「のだ/んだ」는 불필요하다.「のだ/んだ」를 붙히면, 감정이입이 된 말하기 방법이다. 3은 우산을 쓰고 있는 사람을 보고 말하고 있으므로,「상황 설명」이 된다. 혹시, 창문 밖을 보고 비가 내리는 것을 알아챈 경우는 사정은 알 수 없지만, 그저「あ、雨が降っている。(아, 비가 내리고 있다)」가 된다. 4는 큐슈에서 사온 선물을 눈 앞에 두고 대화하고 있으므로, 큐슈에 갔다는 근거(사정)가 생기고「のだ/んだ」가 필요해진다. 5는「こんな時間に(이런 시간에)」라는 표현이 덧붙혀졌듯이「추궁・문책」이 되므로,「のだ/んだ」가 필요하다.


 「のだ/んだ」는「상황 설명」을 나타내고 있으므로,「납득」의 의미용법도 있다.

(4)道が込んでいる。きっと事故があったのだ。
길이 막힌다. 분명 사고가 있었던 모양이다.


 (4)에서는「道が込んでいる(길이 막힌다)」는 상황을 추리하고, 이해해서 납득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음의(5)도「납득」을 나타내고 있다.

(5)変な男がうろうろしていた。だから、うちの犬が吠えたのだ。
이상한 남자가 얼쩡거리고 있다. 그래서 우리집 개는 짖고 있었다.


 (5)과 같은「납득」의 문장에서「추리」의 의미가 강하므로,「のだ/んだ」가 아니라「のだろう/んだろう(~겠지)」「のかもしれない(~일지도 모른다)」가 사용된다.(「かもしれない~일지도 모른다)」의 앞에는 일반적으로「ん」가 아니라「の」가 온다.)

(6)変な男がうろうろしていた。だから、うちの犬が吠えたのだろう/吠えたのかもしれない。
이상한 남자가 얼쩡거리고 있다. 그래서 우리집 개는 짖고 있었겠지/짖었는지도 모른다.


(7)山田さんがまだ来ない。きのう用事があると言っていたが、やっぱり来られないんだろう/来られないのかもしれない。
야마다씨가 아직 안왔어. 어제 일이 있다고 했는데 역시 못 오겠지/못올지도 모른다.


 「だろう」「かもしれない」의 앞에「の/ん」가 오는지에 대해서 연습해보자. 다음의 a와 b 중에서 더 자연스러운 문장을 선택하자.

【문제2】
1.この本を読んでください。いろいろなことが 이 책을 읽어봐주세요. 여러가지가(a.わかるでしょう b.わかるんでしょう)。


2.もし敬語がわかれば、目上の人と話すのも簡単に 혹시 경어를 알고 있다면, 상사와 대화할 때 간단할(a.なるかもしれません b.なるのかもしれません)。


3.彼は失敗を経験したから、人の気持ちがわかるように 그는 실패를 경험했으니까,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게(a.なったでしょう b.なったのでしょう)。


 정답은 1-a, 2-a, 3-b가 된다.

 1는「本を読むと、いろいろなことがわかる(책을 읽으면, 여러 정보를 알 수 있다)」, 2는「敬語がわかると、目上の人と話すのが簡単になる(경어를 알고 있다면, 상사와의 대화가 간단해진다)」라는 단순한 인과관계(원인과 결과)를 말하고 있으므로,「の/ん」는 필요없다. 또, 3은「失敗を経験した(실패를 경험했다)」라는 사정이 있으므로「人の気持ちがわかるようになった(다른 사람의 기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라는 것을 추리하고, 이해해서 납득했으므로,「の/ん」가 필요해진다.

 「のだ/んだ」는 의견, 희망, 요청을 구할 때「~んですが、」「~のですが、」의 형태를 전제로 사용한다.

(8)ちょっとお話があるんですが、今よろしいですか。
잠깐 드릴 말씀이 있는데, 시간 있으세요?

(9)テレビの音が大きいのですが、音を小さくしていただけませんか。
TV 소리가 큰데, 소리 좀 줄여줄 수 있나요?

(10)午後銀行へ行きたいんですが、かまいませんか。
오후에 은행에 가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8)~(10)는「のだ/んだ」을 사용해서 정중하게 상황을 설명하고, 뒤에 오는 문장에서 허가를 구하는 형태로 이것도「のだ/んだ」가 가진「상황 설명」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치카와 야스코/일본어국제센터 객원강사)



원문

JAPANFOUNDATION 国際交流基金

https://www.jpf.go.jp/j/project/japanese/teach/tsushin/grammar/20100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