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구마밭/단어・어휘

빈도를 나타내는 표현 /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의 위치

by 고구마* 2017. 8. 10.

<작년에 다른 까페에 올렸던 글인데, 이제서야 블로그로 옮겼네요. 조금 수정&보안은 했습니다만, 일본어 실력은 거의 변하지 않았으므로..그냥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역시나 링크의 본문을 추천합니다.>



しばしば:같은 일이 몇 번이나 연속해서 일어난다. たびたび。


ときどき:어느 시간을 두고서 반복된다. ときおり。

たまに:생각난 것처럼 사용)

まれに:실현・존재하는 것이 아주 적을 때.

「たまに」의 의미는「まれに」가 포함되어 있을 때가 있으니, 순서에 주의해주세요.



출처 - YAHOO! JAPAN 知恵袋
http://detail.chiebukuro.yahoo.co.jp/qa/question_detail/q14104811309?__ysp=5q%2BO5pel5pmC44CF44Gf44G%2B44Gr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의 위치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부사의 위치는 자유롭습니다. 이것은 반드시 명사 앞이나 뒤에 넣어야하는 형용사와는 다릅니다. 그런 부사 중에서도, 어느 정도는 위치가 정해져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빈도를 표현하는 부사에는,「彼はいつも8時半に来る _ 그는 언제나 8시반에 온다」의「いつも」와 같은 간단한 것입니다.

 「いつも」라는 것은, 다시 말해서「100%」라는 것입니다만, 빈도는「よく」→「時々」→「たまに」→「めったに」와 같이 100~0%까지의 여러가지 있습니다. 빈도는, 일정한 빈도 (毎日, 毎月, 毎年)을  막연한 빈도와 빈도를 표현하는 부정빈도 (いつも、たいてい、しばしば)가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부정의 빈도 위치입니다. 영어로 부정 빈도를 표현하는 부사를 말해보자면,

always (항상), never (절대), often (자주), once (한번만), sometimes (가끔씩), usually (보통)
이렇게 됩니다. 이것의 위치를 문법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1) 일반적으로 동사의 앞에 붙는다.
(2) be 동사의 경우에는, 그 뒤에 붙는다.
(3) 조동사가 있는 경우에는, (맨 처음의)
조동사의 뒤에 붙는다.


그리고 예를 들어보자면,


(1) I usually play tennis afrter school. (나는 보통 학교에서 테니스를 친다)
(2) He is always late for school. (그는 항상 학교에 지각한다)
(3) You should always be polite.(당신은 언제나 예의를 갖춰야 합니다.)
와 같은 문장이 만들어 집니다.


기억하기 어렵다면, 좀 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위의 예문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한 부사의 위치는, 보통 (do / does / did)not 가 들어가는 위치입니다.


(1) I don't play tennis afrter school. (나는 테니스 학교에서 테니스를 치지 않는다.)
(2) He is not late for school. (그는 학교에 늦지 않았다.)
(3) You should not be polite.(당신은 언제나 예의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해보면, not나 빈도의 부사를 넣거나 또, 그 중 무엇을 넣어도 문장이 완성됩니다.
빈도를 표현하는 부사의 위치를 정리하면 위와 같습니다.



출처 - 英語専門塾、ソフィア英語塾
http://morimine.sakura.ne.jp/J/3/3_09_kei_huku.html


예를 들면,「見る」라고 생각해보면, 빈도는 아래와 같은 순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いつも(見る)
しばしば(見る)
時々 (見る)
たまに(時に)(見る)
めったに (見ない)
ほとんど (見ない)


다른 단어를 더 찾아본다면 풀기 쉽습니다. 時々와 しばしば가, 빈도적으로 어느 쪽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ほとんど는 양으로 보면 많지만, 빈도로 쓰일 때는 적은 것이 조금 이상하기는 합니다.



출처 - OKWAVE
http://okwave.jp/qa/q5131311.html